제조업 용어

생산 및 제조용어 완벽정리 2차 (초보자도 쉽게 이해하는 가이드)

화랑아붕 2025. 3. 17. 13:42

현장에서 관련 용어를 이해하지 못하면 업무진행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발생합니다. 지난 포스팅에 이어  많이 사용되는 생산 및 제조 용어 21가지를 정리했습니다. 

각 용어의 뜻을 알고 업무에 임하시면 업무적응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것입니다. 

 

1. Forecast (수요 예측)

뜻: 미래의 제품 수요를 예측하는 과정입니다.
활용: 일반적으로 ForeCast의 경우 예상수량을 뜻합니다.

예시:  A고객사 이번달 ForeCast가 몇개지? 

 


🚚 2. SCM (Supply Chain Management) - 공급망 관리

뜻: 원자재 조달부터 최종 소비자까지의 흐름을 최적화하는 시스템입니다.
활용: SCM의 사전적인 뜻보다는 상황에 따라서 다르게 사용되기도 합니다.
예시: A 모델 내부 SCM이 어떻게 되지?  해당모델은 A공정 - B공정 - C공정 - D공정으로 진행됩니다.

B모델 전체 SCM은 어떻게 되지? B모델은 A공정 - B공정 - C공정 외주를 통해 출고되어 D 1차 협력사로 납품됩니다.


🏭 3. EOL (End of Line) - 생산 종료 단계(단종)

뜻: 특정 제품의 생산이 종료되는 시점을 의미합니다.
활용: 흔히 단종의 표현을 EOL로 표현합니다.
예시: A 모델이 EOL시점이 어떻게 되나요? EOL시점 확인해주시면 내부 생산계획에 반영하겠습니다.


📦 4. MOQ (Minimum Order Quantity) - 최소 주문 수량

뜻: 거래 성사를 위해 필요한 최소 주문 단위입니다.
활용: MOQ는 다양하게 사용됩니다. 발주 moq일수도 있고, 포장 moq일수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최소 포장단위로 MOQ를 많이 사용합니다.
예시: 1박스내 10개 포장되는 제품이 있고 낱개 판매가 어려울경우 최소 moq는 10개로 진행

즉 발주 접수시 최소 10단위로 접수받고 진행해야함


🏷️ 5. MPQ (Minimum Production Quantity) - 최소 생산 수량

뜻: 공장에서 제품을 생산할 때 필요한 최소 생산 단위입니다.
활용: 효율적인 생산을 위해 최소 생산 단위를 설정하여 원가를 절감합니다.
예시: MPQ가 500개라면, 최소한 500개 이상 생산해야 원가 절감이 가능합니다.


📄 6. PO (Purchase Order) - 구매 발주서

뜻: 구매자가 공급업체에 제품을 공식적으로 주문하는 문서입니다.
활용: 흔히 발주수량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예시: 현재까지 접수된 PO수량 확인해줘 (현재까지 접수된 발주수량을 확인해줘)


7. ASAP (As Soon As Possible) - 가능한 한 빨리

뜻: 요청한 작업을 최대한 신속하게 진행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가능한 빠른시일내)
활용: 긴급 주문이나 공정 조정 시 사용됩니다. 흔한말로 발음그대로 "아삽"이라고도 표현합니다.
예시: "이 부품은 ASAP으로 납품이 필요합니다!"


💻 8. 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

뜻: 기업의 모든 자원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입니다.
활용: 생산, 재고, 회계, 인사 등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관리하여 업무 효율을 높입니다.


⚙️ 9. MES (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 제조 실행 시스템

뜻: 생산 현장의 작업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시스템입니다.
활용: 설비 가동률 및 생산 공정의 진행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ERP와는 비슷한 개념의 System이지만 ERP (영업과 회계 중심), MES (생산중심)


📊 10. MRP (Material Requirements Planning) - 자재 소요 계획

뜻: 제품 생산을 위해 필요한 원자재 및 부품을 미리 계획하는 시스템입니다.
활용: 적절한 자재 조달 계획을 통해 생산 중단을 방지합니다.
예시: MRP를 활용하여 자재 부족 없이 생산 일정을 원활하게 운영합니다.


🧐 11. IQC (Incoming Quality Control) - 입고 품질 검사

뜻: 원자재 및 부품이 입고될 때 품질을 검사하는 과정입니다.(수입검사)
활용: 불량 원자재가 생산 공정에 투입되는 것을 방지합니다.
예시: IQC 검사에서 불량이 발생하면 공급업체에 반품 조치를 요청합니다.


12. OQC (Outgoing Quality Control) - 출하 품질 검사

뜻: 제품이 출하되기 전에 최종 품질 검사를 수행하는 과정입니다.(출하검사)
활용: 고객에게 출하되는 제품의 품질을 보장합니다.
예시: OQC 불량이 발생시 해당제품은 출고할수가 없습니다.


🔄 13. IPQC (In-Process Quality Control) - 공정 중 품질 관리

뜻: 생산 공정 중 제품 품질을 검사하는 과정입니다.
활용: 조기 불량 발견을 통해 생산 손실을 최소화합니다.
예시: IPQC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면 최종 불량률이 감소합니다.


🛑 14. Fool Proof (Poka-Yoke, ポカヨケ) - 실수 방지 기법

뜻: 작업자가 실수하지 않도록 시스템적으로 방지하는 기법입니다.

흔히 바보도 실수하지 않고 할수있는 System을 뜻합니다.
활용: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을 줄여 품질을 향상시킵니다.
예시: 특정 부품이 잘못 조립되지 않도록 설계하여 Fool Proof를 적용합니다.


🏗️ 15. CTQ (Critical to Quality) - 품질에 중요한 요소

뜻: 제품 품질에 가장 중요한 핵심 요소를 의미합니다. 
활용: 고객 요구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반드시 관리해야 하는 항목입니다.
예시: 여러개의 공정중에 품질에 가장 큰영향을 미치는 공정을 CTQ공정이라 합니다.


📋 16. KPI (Key Performance Indicator) - 핵심 성과 지표

뜻: 조직의 성과를 평가하는 핵심 지표입니다.
활용: 생산 효율성과 품질 개선을 위한 목표 수립에 활용됩니다.
예시: KPI를 통해 생산 공정의 효율성과 품질 목표 달성 여부를 평가합니다.


🏭 17. Control Plan - 공정 관리 계획

뜻: 제품의 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공정 관리 전략입니다.
활용: 생산 중 품질 변동을 최소화하여 제품 일관성을 유지합니다.
예시: Control Plan을 활용하면 제품의 불량률을 낮출 수 있습니다.


📊 18. FPY (First Pass Yield) - 최초 합격률

뜻: 처음 생산된 제품이 불량 없이 통과하는 비율입니다.
활용: 생산 공정의 효율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예시: FPY가 낮으면 공정 개선이 필요합니다.


🚀 19. FTY (First Time Yield) - 직행률

뜻: 제품이 재작업 없이 처음부터 정상적으로 생산되는 비율입니다.
활용: 품질 안정성과 생산 효율성을 평가하는 기준입니다.
예시: FTY가 높을수록 생산 비용이 절감됩니다.


🏭 20. 금형 증작

뜻: 금형이란 제품의 대량생산을 위한 일정형태의 틀을 말하며 증작은 CAPA부족시 금형을 추가 제작하는것을 뜻합니다.
예시: 주문량 증가에 따른 기존 금형 CAPA가 부족하여 증작을 진행해야합니다.


📦 21. 자재 Shortage

뜻: 생산에 필요한 원자재나 부품이 부족하여 생산일정이 지연된 상황을 말합니다.
예시: 주요 원자재인 반도체 chip이 shortage가 발생하여 생산일정이 연기되었습니.

 

 

📌 제조업에서 자주 사용하는 용어를 한눈에 정리해 보았습니다!

📣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나요? 공유하고 댓글로 궁금한 점을 남겨주세요! 😊

 

추후 전자책에서는 실재사용예시를 포함하여 추가하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