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관리 이야기 7

생산성 향상의 첫걸음, 설비관리지표 OEE(설비종합효율) 1/2

블로그 유입키워드를 꾸준하게 검토하는 편인데 은근히 OEE관련된 내용으로 유입되시는분들이 많네요.생산관리의 주요업무에 대해서는 기존에 포스팅 했던것처럼 현실성있고 정확한 생산계획의 작성이고 기본적인 생산관리 Flow가 운영이 되게 되면 4M관점에서 지표관리를 통한 모니터링 관리를 진행해야 합니다.'현재 하고 있는것이 잘하고 있는것인지 ? 문제는 없는건지?''추가로 개선을 해야하는 부분이 어떤것인지?' 관리해야하는 수많은 항목들이 있지만 이번 포스팅에서는 설비관련 대표적인 지표인 (OEE/설비종합효율)에 대하여 간략하게 진행해보고 구체적으로 계산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다음 포스팅에서 Detail하게 진행하겠습니다. 해당지표관리에 대해서는 수많은 생산관리 현직자 분들께서 Detail하게 관리하시는 분들이 많지..

생산관리와 타부서의 연관성 및 내부영업

생산관리는 제조업체 "공장운영의 허브" 입니다.PC에서 각 Network를 연결하여 운영하는 HUB처럼 제조업체내에서 각 부서간 연결을 담당하여 생산제품이 적시에 적정수량으로 품질을 만족하며 생산되기 위하여 각 부서와 유기적인 협업이 필요합니다.각 부서간 어떠한 연관포인트가 있는지 그리고 각 부서담당자들과는 어떠한 관계를 유지해야할지에 대한 내용을 포스팅 진행해보겠습니다.   ✅ 생산관리와 각 부서들간의 연관성 및 협업 Point1️⃣ 영업부서 (Sales)🔗 연관성 :수주의 시작점. 고객의 주문(PO)은 영업부를 통해 접수, 생산관리는 이를 기반으로 생산계획수립납기일 협상/조정 시 생산 가능성과 상호 협의 필요🤝 협업 포인트 :수주정보 실시간 공유→ 생산부서는 수주 수량, 납기일, 품목 코드를 즉시..

생산관리 첫출근? 어떤것부터 시작하면 좋을까요?

생산관리로 입사하여 첫출근을 하게되면 회사마다 다르겠지만 보통은 OJT(On the Job Training)부터 시작을 하게됩니다. OJT의 방식의 경우도 회사마다 다르겠지만 생산관리의 OJT는 현장파악부터 시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만약 현장파악 없이 실무로 시작할 경우도 있겠지만 그렇다고 하면 개별적으로 시간을 내던 아니면 제안을 하여 현장을 우선적으로 파악하는것이 최우선 급선무 입니다. 단순 Tour 형식의 OJT를 하는 회사도 있고, 실제로 오랜기간동안 각 생산공정에 짧으면 몇시간 길면 몇일씩 배치되어 현장에 있는 분들과 함께 작업을 하면서 업무를 배우는 경우도 있습니다.(훗날 느끼시겠지만, 단순 투어개념보다는 시간을 할애하여 공정을 직접 배우는 후자의 경우가 훨씬 좋습니다.) 산업공학을 전공하신 ..

현장사람들과 생산관리가 많이 싸우나요?

현장사람들과 생산관리의 관계에 대하여 제경험 기준으로 한번 이야기 해보겠습니다.복잡한 내용을 다 제외하고 일반적인 내용으로 보면 생산관리 : 생산계획을 수립하는 부서 (즉, 어떤제품을 해야할지 스케쥴을 정해줌)생산제조 : 생산관리에서 수립된 계획을 기준으로 실제 제품을 생산하는 부서 생산관리에서 공유/지시한 내용으로 실제 액션을 해주는 부서가 제조이자 현장입니다.계획을 주는 부서와 실행하는 부서의 차이기에 어떻게 받아들이느냐에 따라 달라집니다.많이 싸우냐 전혀 안싸우냐 이것은 전적으로 Case By Case 이자 회사마다 천차만별입니다.회사의 System 과 사내 업무분장과 그리고 개인별 성향차이에 따라서 달라지기에 "많이 싸웁니다 ""맨날 싸워요 이해를 할수가 없어요""전혀 안싸우는데요? 왜 싸우는거죠..

CAPA가 부족한가요? "추가 CAPA 확보전략 및 검토사항"

🔍 생산 CAPA 확보를 위한 전략적 접근 (필수검토사항)고객사의 발주가 일정할수도 있지만, 현실상 일정하지 않는 경우가 훨씬 많습니다.내부 CAPA만큼만 발주가 꾸준히 들어오면 가장 BEST인 상황이겠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습니다.기업의 생산성을 극대화하고 고객사의 수요증가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CAPA 확보가 필수적입니다. CAPA 확보시 필수검토사항을 알아보겠습니다. ✅ 4M기준 Machine (설비증설)설비증설은 CAPA 확보의 가장 근본적인 방법이며 가장 많은 비용이 발생하는 부분이기에 구매전 반드시 하기사항 검토필요 1️⃣ 설비구매시기: 설비의 종류마다 다르겠지만, 범용설비를 그대로 구매하는것이 아닌이상일반적으로 제작기간 최소 1개월 이상 소요됨설비입고이후 Setting 시간까지 감..

생산관리 직무가 하는일? 생산관리에 유리한 전공은?

사람들마다 생각이 다르고, 해석하는 시각이 다르기에 저의 주관적인 생각과 경험이 많이 반영되었음을 서두에 미리 알려드립니다. ✅ 생산관리란? 기업에서 생산관리 업무의 중요성**생산관리(Production Management)**는 기업이 제품을 효과적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기획, 운영, 통제하는 핵심 업무입니다. 생산 관리는 납기 준수, 원가 절감, 품질 개선, 생산성 향상 등의 목표를 이루기 위해 인력, 재료, 기계 등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역할을 합니다.효율적인 운영을 통한 비용절감, 납기준수를 통한 기업경쟁력 강화등으로 인하여 제조업체에서 생산관리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생산관리가 하는일?생산관리의 부서는 회사마다 담당하는 업무의 범위및 수준 편차가 큰편입니다.일반적인 내용 및..

징글징글한 생산관리 이야기의 시작

생산관리의 시작학부제시행의 첫학번인 99년에 컴퓨터공학을 목표로 학교를 입학했으나 너무나 철없이 보낸 1학년의 생활로 인하여 생각치도 못한 산업공학으로 전공유난히도 취업이 어려웠던 4학년시절 배운게 너무 아깝다는 생각이 들어산업공학을 그대로 살려 "생산관리" 업무를 시작한지 벌써 20여년 가까이 지났네요. 산업공학을 전공하여 생산관리 업무를 희망하는 사람들을 위하여 혹은생산관리 업무에 대하여 궁금해 하는 사람들을 위하여 현직 20년 근무경험으로생산관리에 대한 이야기를 시작해보려고 합니다.짧은 경력이고 주관적인 부분이 있지만 생산관리 업무를 희망하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실제업무이해를 위한 개념적인 내용 보다는 실무위주로 구성할 예정입니다. 간략한 경력소개1. 생산관리 공채를 통한 생산관리 입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