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관리 3

생산관리 첫출근? 어떤것부터 시작하면 좋을까요?

생산관리로 입사하여 첫출근을 하게되면 회사마다 다르겠지만 보통은 OJT(On the Job Training)부터 시작을 하게됩니다. OJT의 방식의 경우도 회사마다 다르겠지만 생산관리의 OJT는 현장파악부터 시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만약 현장파악 없이 실무로 시작할 경우도 있겠지만 그렇다고 하면 개별적으로 시간을 내던 아니면 제안을 하여 현장을 우선적으로 파악하는것이 최우선 급선무 입니다. 단순 Tour 형식의 OJT를 하는 회사도 있고, 실제로 오랜기간동안 각 생산공정에 짧으면 몇시간 길면 몇일씩 배치되어 현장에 있는 분들과 함께 작업을 하면서 업무를 배우는 경우도 있습니다.(훗날 느끼시겠지만, 단순 투어개념보다는 시간을 할애하여 공정을 직접 배우는 후자의 경우가 훨씬 좋습니다.) 산업공학을 전공하신 ..

생산관리 주요업무 (3-1. 생산계획 실행 및 관리(MAN측면))

🔍 생산 계획 실행 및 관리생산 계획을 수립및 배포하는 것으로 끝이 아니라, 계획대로 실행되면서 발생하는 문제점이 없는지 지속적으로 확인하고, 이에 대한 **빠른 피드백(FEEDBACK)**을 진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생산 관리의 핵심은 납기 일정 및 생산 일정이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모든 변수를 고려하고, 발생하는 이슈에 신속하게 대응하는 것입니다.어떠한 부분을 피드백을 해야하는지를 알아보겠습니다. ✅ 계획대비 생산실적 확인📊대부분의 생산관리 담당자는 출근후 가장 먼저 목표대비 생산실적을 확인합니다.수립된 계획수량만큼 실행되었는지 확인하는것은 생산관리의 중요한 업무입니다. ✔️ 전날 수립한 계획 대비 실적이 목표를 달성했는지 ❓✔️ 실적이 부족하거나 초과했는지 ❓✔️ 부족했다면, 원인은 무엇인지..

생산 및 제조용어 완벽 정리 1차 (초보자도 쉽게 이해하는 가이드)

생산 현장과 제조업에서 자주 사용하는 용어들을 이해하는 것은 업무 효율을 높이고 커뮤니케이션 오류를 줄이는 데 필수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많이 사용되는 생산 및 제조 용어 24가지를 정리했습니다. 각 용어의 뜻을 알고 업무에 임하시면 업무적응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것입니다. 😉 🚀 1. L/T (Lead Time)뜻: 주문에서 제품 납품까지 걸리는 총 시간입니다.중요성: Lead Time을 줄이면 고객 만족도가 상승하고 재고 비용이 절감됩니다.⏱️ 2. C/T (Cycle Time)뜻: 제품 하나를 생산하는 데 걸리는 시간입니다.중요성: Cycle Time 단축은 생산성 향상으로 이어집니다.⏲️ 3. T/T (Takt Time)뜻: 고객 요구에 맞춰 제품을 생산해야 하는 속도입니다.계산법: 가용작..

제조업 용어 2025.0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