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9

"재고·재공·수주"를 한눈에! 실무에 딱 맞는 생산일지 작성법 (2/5)

지난 포스팅에 이어서 생산일지 작성법 2번째 포스팅을 진행하겠습니다.생산일지를 작성하기 위하여 필요로 하는 자료 ("고객사별 발주현황" , "공정별 생산실적" , "제품창고 입출고 수불부" ) 준비가 되면 생산일지 작성이 가능합니다. 회사마다 필요로 하는 정보와 구성이 다르기에 기본적인 생산일지 구성에 대하여 확인후 필요시에는 각 회사실정에 맞도록 수정을 해야합니다.회사에서 생산일지를 운영하고 있다고 하면 필요하신 부분을 벤치마킹하시면되고, 만약 운영하고 있지 않도록 하면 참고하시어 신규로 운영하셔도 좋습니다. 생산일지내 납기와 생산정보가 취합되어 운영이 된다고하면 해당자료는 훗날 MES System 도입기반자료로도 활용이 가능하니 참고해주세요. 🎯 생산일지의 기본구성 - 공정별 생산실적현황 : LOT..

생산관리와 타부서의 연관성 및 내부영업

생산관리는 제조업체 "공장운영의 허브" 입니다.PC에서 각 Network를 연결하여 운영하는 HUB처럼 제조업체내에서 각 부서간 연결을 담당하여 생산제품이 적시에 적정수량으로 품질을 만족하며 생산되기 위하여 각 부서와 유기적인 협업이 필요합니다.각 부서간 어떠한 연관포인트가 있는지 그리고 각 부서담당자들과는 어떠한 관계를 유지해야할지에 대한 내용을 포스팅 진행해보겠습니다.   ✅ 생산관리와 각 부서들간의 연관성 및 협업 Point1️⃣ 영업부서 (Sales)🔗 연관성 :수주의 시작점. 고객의 주문(PO)은 영업부를 통해 접수, 생산관리는 이를 기반으로 생산계획수립납기일 협상/조정 시 생산 가능성과 상호 협의 필요🤝 협업 포인트 :수주정보 실시간 공유→ 생산부서는 수주 수량, 납기일, 품목 코드를 즉시..

"재고·재공·수주"를 한눈에! 실무에 딱 맞는 생산일지 작성법 (1/5)

앞서 포스팅하였던 생산관리의 주요업무를 보면 생산관리에서는 고객사에서 요청한 납기일정을 달성하기 위하여 정확한 생산계획 수립 및 생산계획의 실행 및 관리가 매우 중요한 업무임을 알수가 있습니다.회사마다 운영하는 System이 다르고 사용하는 프로그램이 다르지만 고객사의 발주와 사내 보유하고 있는 재공/재고 현황을 감안하여 고객사에서 요청하는 발주를 대응하기 위해서는 "생산일지" 운영이 필요합니다.생산일지 or 생산일보등 회사마다 칭하는 이름이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생산일지는 위에서 언급하였듯이 고객사 발주 및 내부재공재고 현황을 한눈에 확인을 하여 생산관리 운영을 수월하게 하는 핵심 문서입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생산일지를 작성 운영하는 방법에 대하여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 생산일지 작성의 10가지 ..

생산관리 첫출근? 어떤것부터 시작하면 좋을까요?

생산관리로 입사하여 첫출근을 하게되면 회사마다 다르겠지만 보통은 OJT(On the Job Training)부터 시작을 하게됩니다. OJT의 방식의 경우도 회사마다 다르겠지만 생산관리의 OJT는 현장파악부터 시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만약 현장파악 없이 실무로 시작할 경우도 있겠지만 그렇다고 하면 개별적으로 시간을 내던 아니면 제안을 하여 현장을 우선적으로 파악하는것이 최우선 급선무 입니다. 단순 Tour 형식의 OJT를 하는 회사도 있고, 실제로 오랜기간동안 각 생산공정에 짧으면 몇시간 길면 몇일씩 배치되어 현장에 있는 분들과 함께 작업을 하면서 업무를 배우는 경우도 있습니다.(훗날 느끼시겠지만, 단순 투어개념보다는 시간을 할애하여 공정을 직접 배우는 후자의 경우가 훨씬 좋습니다.) 산업공학을 전공하신 ..

생산관리 주요업무 (4. 납기일정의 확정 및 조율)

🔍 납기일정의 확정 및 조율생산관리 담당자의 핵심 업무 중 하나는 생산계획 수립이며, 생산계획 수립이 중요한 이유는 고객사에서 요청한 납기 일정 준수를 위함입니다. 제조업체에서 수익 창출은 생산된 제품의 판매에서 발생되는것이며, 납기일정의 준수는 고객사와의 신뢰 및 회사의 존속과 미래와도 직결된 문제이기때문에 납기일정의 준수는 어떠한 항목보다도 최우선으로 진행해야할 항목입니다.고객사에서 요청하는 일정 및 수량과 한정된 CAPA(생산 능력) 내에서 납기 일정을 맞추기 위해 생산관리에서는 정확한 생산계획을 수립해야 하며, 영업부의 요청일정과 제조부의 생산일정간의 입장 차이가 발생시 현실적으로 가능한 최적의 일정을 검토하여 고객사 요청사항을 대응할수있도록 해당일정에 대하여 필요시 조율하면서 전체 출고일정 관..

생산 및 제조용어 완벽정리 2차 (초보자도 쉽게 이해하는 가이드)

현장에서 관련 용어를 이해하지 못하면 업무진행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발생합니다. 지난 포스팅에 이어  많이 사용되는 생산 및 제조 용어 21가지를 정리했습니다. 각 용어의 뜻을 알고 업무에 임하시면 업무적응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것입니다.  ⏳ 1. Forecast (수요 예측)뜻: 미래의 제품 수요를 예측하는 과정입니다.활용: 일반적으로 ForeCast의 경우 예상수량을 뜻합니다.예시:  A고객사 이번달 ForeCast가 몇개지?  🚚 2. SCM (Supply Chain Management) - 공급망 관리뜻: 원자재 조달부터 최종 소비자까지의 흐름을 최적화하는 시스템입니다.활용: SCM의 사전적인 뜻보다는 상황에 따라서 다르게 사용되기도 합니다.예시: A 모델 내부 SCM이 어떻게 되지?  해당모델은..

제조업 용어 2025.03.17

생산관리 주요업무 (3-4. 생산계획 실행 및 관리(Method 측면))

🔍 생산 계획 실행 및 관리 4️⃣ 4M기준 Method(방법) & ETC 측면 분석현장에서 생산계획대비 실적을 달성하지 못하는 이유에 대하여 Man / Machine / Material의 분석에 대하여 앞서 확인을 해보았습니다. 이번에는 마지막 Method 측면 및 그외 발생원인에 대해 확인해 보겠습니다. ❓ 생산작업外 발생되는 부수적인 작업들이 생산실적에 영향을 주지는 않는지?생산현장에서는 제품을 생산하는일外 많은 일들이 같이 병행됨각각의 생산작업外 진행되는 일들에 대해서는 반드시 진행해야하는 이유가 명확해야함진행해야하는 이유가 명확하지 않은 업무들에 대해서는 제외해야함 특히 생산현장에서는 작업완료후 생산실적에 대한 기록업무가 반드시 동반됨기록업무에 투자되는 공수가 생산실적 저하 / 설비 비가동시간..

생산관리 주요업무 (3-3. 생산계획 실행 및 관리(Material측면))

🔍 생산 계획 실행 및 관리 3️⃣ 4M기준 Material(자재) 측면 분석현장에서 생산계획대비 실적을 달성하지 못하는 이유는 다양하지만, 인원 이슈도 설비이슈도 없음에도 불구하고 계획대비 생산실적 미달성시 해당원인이 자재의 문제인지 분석해야합니다.📌 1. 자재의 수급문제생산을 위한 설비와 인원이 준비가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투입자재가 없으면 생산진행 불가각 항목별로 자재수급이 제때 되지 않는 이유에 대하여 분석진행 ❓ 자재 발주가 제때 이루어졌는가?月생산계획과 日생산계획 사전공유의 목적 : 생산계획을 참고하여 사전에 자재확보 발주진행이안된경우발주진행 했는데입고일정이 Delay되는 경우내부 발주진행System 개선진행입고일정 공유System 개선진행당장 사용할 자재가 없을경우, 공급업체와 연락하여 지..

현장사람들과 생산관리가 많이 싸우나요?

현장사람들과 생산관리의 관계에 대하여 제경험 기준으로 한번 이야기 해보겠습니다.복잡한 내용을 다 제외하고 일반적인 내용으로 보면 생산관리 : 생산계획을 수립하는 부서 (즉, 어떤제품을 해야할지 스케쥴을 정해줌)생산제조 : 생산관리에서 수립된 계획을 기준으로 실제 제품을 생산하는 부서 생산관리에서 공유/지시한 내용으로 실제 액션을 해주는 부서가 제조이자 현장입니다.계획을 주는 부서와 실행하는 부서의 차이기에 어떻게 받아들이느냐에 따라 달라집니다.많이 싸우냐 전혀 안싸우냐 이것은 전적으로 Case By Case 이자 회사마다 천차만별입니다.회사의 System 과 사내 업무분장과 그리고 개인별 성향차이에 따라서 달라지기에 "많이 싸웁니다 ""맨날 싸워요 이해를 할수가 없어요""전혀 안싸우는데요? 왜 싸우는거죠..

생산관리 주요업무 (3-2. 생산계획 실행및 관리(Machine측면))

🔍 생산 계획 실행 및 관리 2️⃣ 4M기준 Machine(설비) 측면 분석: 목표대비 생산실적 미달성시 해당원인이 설비의 문제인지 분석해야합니다. 📌 설비 고장문제에 따른 실적미달성제조업체에서 설비고장은 곧장 생산성문제로 직결되는 문제이기때문에 설비는 일상점검을 통하여 항상 최적의 상태를 유지하며 운영을 해야합니다. 실제로 많은 고객사에서도 Audit(실사) 진행시 설비 일상점검에 대한 부분을 체크를 하고 있기에 설비일상점검은 의무이자 반드시 해야하는 업무입니다.  ✔️ 설비 자체의 문제 (노후화, 유지보수 미흡등): 설비 노후화에 따른 문제가 지속발생시 노후도 평가및 교체계획 수립: 설비보전계획 수립을 통한 설비일상점검 시행 (일상점검 Check Sheet 작성 및 운영)(설비에서 문제가 되는 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