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관리가 하는일

"재고·재공·수주"를 한눈에! 실무에 딱 맞는 생산일지 작성법 (1/5)

화랑아붕 2025. 4. 3. 13:43

앞서 포스팅하였던 생산관리의 주요업무를 보면 생산관리에서는 고객사에서 요청한 납기일정을 달성하기 위하여 정확한 생산계획 수립 및 생산계획의 실행 및 관리가 매우 중요한 업무임을 알수가 있습니다.

회사마다 운영하는 System이 다르고 사용하는 프로그램이 다르지만 고객사의 발주와 사내 보유하고 있는 재공/재고 현황을 감안하여 고객사에서 요청하는 발주를 대응하기 위해서는 "생산일지" 운영이 필요합니다.

생산일지 or 생산일보등 회사마다 칭하는 이름이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생산일지는 위에서 언급하였듯이 고객사 발주 및 내부재공재고 현황을 한눈에 확인을 하여 생산관리 운영을 수월하게 하는 핵심 문서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생산일지를 작성 운영하는 방법에 대하여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 생산일지 작성의 10가지 실무 목적

 

1️⃣ 납기 준수를 위한 생산 진행 상황 모니터링

고객사 납기일에 맞춰 계획대로 생산이 잘 진행되고 있는지를 매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생산량이 일정보다 지연되면 즉시 대응 가능하여 납기일 준수율 향상에 기여합니다.


2️⃣ 수주 수량 대비 생산실적 체크

생산일지는 수주 수량에 맞춰 얼마나 생산되었는지를 파악하는 수주-실적 비교 도구입니다.
👉 불필요한 과잉 생산 또는 생산 부족을 방지하여 효율적인 생산 운영이 가능합니다.


3️⃣ 재공(WIP) 및 재고 현황 파악

공정 중인 제품(재공)과 완제품 재고를 동시에 기록하여 재고 과잉 또는 재고 부족 상태를 방지합니다.
👉 적정 생산량 유지로 창고 포화, 자재 누락, 생산 병목(Bottle Neck) 등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4️⃣ 실시간 생산 가시성 확보 및 관리자 보고

생산팀 외에도 관리자, 영업, 물류 부서가 생산현황을 확인할 수 있어
👉 생산 스케줄, 납기 조정, 자재 준비 등의 협업이 즉시 가능해집니다.


5️⃣ 긴급 생산/변경 생산에 대한 즉각 대응

생산일지를 통해 현재 생산 진행률과 잔여 재공을 파악함으로써
👉 긴급 오더 또는 고객의 납기변경 요청 시 유연하게 일정 변경이 가능합니다.


6️⃣ 감사/심사 대응 및 이력관리

품질 인증, 고객사 심사, 경영시스템 인증(ISO 등) 시
👉 생산일지는 **증적자료(Evidence Document)**로 사용되며, 문서 기반 생산관리 체계를 증명합니다.


🔟 예측 생산/수요계획 기반 자료로 활용

과거 생산일지를 기반으로 한 생산 패턴 분석
👉 계절성 수요, 반복 오더, 재고 회전율 등의 예측 데이터를 생성하여
중장기 생산계획 수립에 핵심 참고자료가 됩니다.

 

 

📌  생산일지 작성을 위한 필수 자료

생산일지 운영을 위해서는 필수적은 납기관련 정보와 보유재공/재고에 대한 정보가 필수입니다.

2가지 정보를 하나의 문서로 관리해야 납기일정대비 현재 보유중인 재공/재고로 대응이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할수가 있습니다. 생산일지 운영관련 필수자료는 아래와 같습니다.

 

1. 고객사별 발주현황 (납기관련 자료)

고객사별 납기일정 및 수주정보를 기록관리하는 문서는 부르는 이름이 회사마다 상이

(생산의뢰서, 수주관리대장, 수주현황표, 납기관리표, 출하계획표, Master Schedule, Order Sheet등)

 

✅  납기관리 문서내 필수적으로 기재되어야할 정보

- 고객사명 
- 입고지 정보 (동일고객사라도 입고지가 다를수 있음)
- 수주일자
- 납기요청일자 
- 요청품목 (Part NO)
- 요청수량

 

✅  납기관리 문서내 필요시 부가적으로 기재되어야할 정보

- 고객사 품목명 Part NO
- 고객 PO번호 (발주서내 고유번호)
- 납품조건 (CIF, FOB등 거래방식)
- Invoice NO 등

 

(수주관리대장 양식의 경우 별도파일로 작성하여 등록예정입니다.)

 


2. 공정별 생산실적  (재공(Wip)현황 파악목적)

공정별 재공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각 공정별 생산실적 관련 자료필요

(공정명, 모델명, LOt NO, 수량등 생산관련 정보작성 필요)

 

 

(공정별 생산실적 양식의 경우 별도파일로 작성하여 등록예정입니다.)

 

 

3. 제품창고 입출고 수불부  (재고현황 파악목적)

제품창고 제품입출고 수불부내용 필요 (입고현황 및 각 고객사별 출고이력)

 

(공정별 생산실적 양식의 경우 별도파일로 작성하여 등록예정입니다.)

 

 

📌 생산일지의 작성 및 운영

상기의 준비된 자료를 토대로 생산일지 작성은 기본적으로 아래 Flow로 진행됩니다.

 

1️⃣ 생산일지내 납기정보 작성

- 고객사별 일자별 납기요청수량에 대한 정보를 작성
2️⃣ 생산일지내 공정별 실적현황 작성

- 각 개별공정별 실적현황에 대한 정보를 작성
3️⃣ 생산실적기준 각 공정별 LOT 진행현황 Excel 연동

- 각 개별공정별 실적을 LOT별 현황과 연동하여 LOT별 공정별 보유재공현황 산출
4️⃣ LOT별 진행현황 기준 공정별 재공/재고현황 연동

- LOT별 현황을 기준으로 공정별 모델별 재공현황 산출
5️⃣ 제품창고 수불부 작성

- 완제품 입/출고내용을 기준으로 재고 현황산출

6️⃣ 최종 생산일지 연동

- 일자별 모델별 납기예정수량 및 모델별 보유 재공/재고현황

 

🎯 마무리하며...

"생산일지는 단순한 기록이 아니라, 생산현장을 움직이는 '운영의 나침반' 입니다."

"생산일지는 납기를 맞출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무기 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생산일지의 작성 목적 및 운영을 위하여 필요로 하는 최소 정보에 대한 내용에 대하여 진행하였습니다. 수많은 모델과 수시로 접수되는 납기를 대응하기 위하여 생산관리 담당자는 생산일지(생산일보)를 운영하여 현재 납기현황이 어떤상황인지 보유하고 있는 재공/재고로 언제 대응이 가능한지에 대하여 한눈에 파악하고 대응할수있어야 합니다.

다음포스팅에서는 준비된 자료를 토대로 생산일지를 작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진행하겠습니다.

 

 

👉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과 ‘댓글’ 부탁드립니다! 😊

👉 해당건 관련 문의사항이나 궁금한점 있으시면 댓글 부탁드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