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산 계획 실행 및 관리
4️⃣ 4M기준 Method(방법) & ETC 측면 분석
현장에서 생산계획대비 실적을 달성하지 못하는 이유에 대하여 Man / Machine / Material의 분석에 대하여 앞서 확인을 해보았습니다. 이번에는 마지막 Method 측면 및 그외 발생원인에 대해 확인해 보겠습니다.

❓ 생산작업外 발생되는 부수적인 작업들이 생산실적에 영향을 주지는 않는지?
생산현장에서는 제품을 생산하는일外 많은 일들이 같이 병행됨
각각의 생산작업外 진행되는 일들에 대해서는 반드시 진행해야하는 이유가 명확해야함
진행해야하는 이유가 명확하지 않은 업무들에 대해서는 제외해야함
특히 생산현장에서는 작업완료후 생산실적에 대한 기록업무가 반드시 동반됨
기록업무에 투자되는 공수가 생산실적 저하 / 설비 비가동시간 증가에 영향을 주는지 검토
- 1. 생산실적을 수기로 입력 : Excel 프로그램으로 실적등록으로 변경
- 2. 생산실적을 엑셀로 직접입력 : Excel VBA Macro UserForm활용 입력프로그램으로 변경
- 3. 생산실적을 MES / ERP로 입력 : BarCode 라벨 및 Scanner 활용입력
상기와 같이 각 단계별로 사내실정에 맞춰서 실적입력을 최소화 할수있는 방안으로 유지
❓ 동선의 변화가 생겼거나 비효율적인 동선으로 되어있지는 않은가?
작업준비 - 원자재 투입 - 가공/생산 - 완료
해당공정 생산작업 기본Flow를 확인하여 가공/생산시 설비가 비가동되는 일이 없는지 확인
자재의 흐름, 작업자의 동선, 투입자재와 완료자재의 배치 위치, 필요한 치공구의 위치등 설비가 멈추는일 없이 작업자가 설비앞에서 지속적인 생산을 할수있어야 한다라는 시선으로 접근시 현재의 동선구성의 적절성이 판단됨
비효율적인 동선이나 잘못된 Layout이 확인될경우 동선 및 Layout 변경진행
→ 단, Layout변경시 이후공정에도 영향을 줄수있기에 이후공정 영향도 같이 확인후 변경진행
※불필요한 이동동선, 대기시간의 증가의 경우 Lean 생산기법중 제거해야할 8대 낭비중 하나 (반드시 개선진행)
❓ 갑작스런 샘플 작업으로 인한 양산 작업일정에 차질이 있지는 않은지?
현장에서 샘플의 작업은 향후 회사의 먹거리를 위한 투자로 생각하고 적극적으로 대응해야함
단, 샘플의 중요도에 따라서 샘플진행을 위한 설비가동일정이 현재 양산제품일정과 겹칠경우 샘플일정과 양산작업일정간의 조율이 필요. 샘플의 진행은 반드시 생산관리팀과 협의하여 일정조율진행
생산관리에서는 현재 샘플의 중요도 및 일정에 대하여 영업과 협의후 현재 납기일정에 차질이 없는 범위에서 진행
❓ 설비 작업조건 세팅시간에 오랜시간이 소요되지는 않은가?
생산계획수립시 기본적인 세팅시간을 감안하여 일일 생산계획 수립필요
기본적인 세팅시간을 초과하여 세팅시간에 많은 시간이 투자될경우, 해당시간만큼의 실적미달성
→ 설비 세팅의 경우, 기본적으로 숙련자가 진행하는것으로 원칙
→ 설비 세팅후 세팅조건에 대하여 관능적 평가를 객관적/수치적 평가로 변경검토
→ 설비 세팅 표준화 및 메뉴얼 작성 운영
→ 설비 세팅관련 전문인원 or 전담팀운영
❓ 생산계획의 잦은 변경에 따른 잦은 기종 Change가 발생되고 있지는 않은가?
생산계획 수립시, 잦은 기종교체로 인한 Loss가 발생치 않도록 최소의 변경으로 계획수립필요
납기상 문제가 될경우, 기종교체는 불가항력으로 발생하지만 안전재고 관리시 최소한으로 운영가능
때에 따라서는 출고수량이 적은 제품의 출고일정변경을 통한 생산효율성 상승이 가능
❓ 전산 IT System의 장애로 인한 물류이동 장애가 발생하지는 않았는가?
data관리의 완결성을 위해서는 실물의 이동과 전산의 이동이 일원화 되어 진행되어야함.
고객사에서 요청한 납기일정을 준수하기 위해서는 IT전산상의 문제가 있어도 실물이동은 가능해야함
전산상 문제가 되었을경우 수동으로 처리할수있는 방안을 사전에 모색필요
EX) 제품생산후 실물이동 전산 등록은 후처리로 진행
전산문제로 실적등록을 못하여 계획대비 제품생산을 못하는일은 없어야함
🎯 마무리하며...
생산계획이 미달성되는 원인 중 방법 문제의 경우는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을 시행해야합니다. 어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무언가를 변경하고 System을 개선하여 변화점이 생긴다고 하면 기존문제에 대한 해결책은 될수있어도 그 변화로 인하여 새로운 문제가 야기될수도 있습니다.
품질측면에서 생산측면에서 고객사의 요청사항에서 다양한 각도에서 발생될수있는 새로운 문제점들에 대하여 항상 사전에 검토하고 예상되는 문제점들을 사전에 분석하여 변화를 추진해야합니다.
👉 도움이 되셨다면 ‘공유’와 ‘댓글’ 부탁드립니다! 😊
👉 해당건 관련 문의사항이나 궁금한점 있으시면 댓글 부탁드려요 😊
'생산관리가 하는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고·재공·수주"를 한눈에! 실무에 딱 맞는 생산일지 작성법 (1/5) (0) | 2025.04.03 |
---|---|
생산관리 주요업무 (4. 납기일정의 확정 및 조율) (0) | 2025.03.18 |
생산관리 주요업무 (3-3. 생산계획 실행 및 관리(Material측면)) (0) | 2025.03.13 |
생산관리 주요업무 (3-2. 생산계획 실행및 관리(Machine측면)) (1) | 2025.03.12 |
생산관리 주요업무 (3-1. 생산계획 실행 및 관리(MAN측면)) (0) | 2025.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