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관리가 하는일

생산관리 주요업무 (3-2. 생산계획 실행및 관리(Machine측면))

화랑아붕 2025. 3. 12. 14:29

🔍 생산 계획 실행 및 관리

2️⃣ 4M기준 Machine(설비) 측면 분석

: 목표대비 생산실적 미달성시 해당원인이 설비의 문제인지 분석해야합니다.

 

📌 설비 고장문제에 따른 실적미달성

제조업체에서 설비고장은 곧장 생산성문제로 직결되는 문제이기때문에 설비는 일상점검을 통하여 항상 최적의 상태를 유지하며 운영을 해야합니다. 실제로 많은 고객사에서도 Audit(실사) 진행시 설비 일상점검에 대한 부분을 체크를 하고 있기에 설비일상점검은 의무이자 반드시 해야하는 업무입니다.

 

 ✔️ 설비 자체의 문제 (노후화, 유지보수 미흡등)

: 설비 노후화에 따른 문제가 지속발생시 노후도 평가및 교체계획 수립

: 설비보전계획 수립을 통한 설비일상점검 시행 (일상점검 Check Sheet 작성 및 운영)

(설비에서 문제가 되는 항목들에 대하여 어떤부분을 점검해야할지 일일점검 시행)

 

※ 일반적으로 예방유지 보수에 발생되는 비용은 사후수리보다 분당 35%적게 비용이 듬

(출처: High Cost of Downtime in Manufacturing & How to Reduce It In 2024 | TeamSense)

 

 

 ✔️ 설비 주요부품의 파손 (치공구, 부품등)

: 부품파손에 따른 설비정지를 대비하여 Spare Parts 안전재고 관리 (발생즉시 교체가능하도록)

→ 각 Spare Parts별 예상 교체주기 설정 및 사전발주

→ 정지적인 치공구 점검 및 마모한계 설정

 

 ✔️ 설비 Program의 오류 (PLC, Program등)

: Program 오류대비 Setting조건 및 Program 사전 Backup 진행

Setting 조건 변경 권한 제한 

Setting 메뉴얼 표준화 및 작업자 교육강화

 

 

📌 설비 비가동시간 증가에 따른 실적미달성

설비가 물리적으로 고장 나지는 않았지만, 가동되지 않은 (비가동) 시간의 증가에 따른 실적미달성에 대한 부분도 체크를 진행해야 합니다.

 

 ✔️ 설비 Set-up 시간 증가에 따른 문제

생산제품을 교체하는 과정이나 생산을 위한 초기 Setting 단계 과도한 Setting시간 발생

 Setup 메뉴얼 표준화 및 작업자 교육강화

 Setup 진행관련 항목별 Detail한 원인분석 후 관련 대응책 마련

 

👉 작업자 숙련도의 문제 : 숙련자위주로 세팅진행 / 지속교육진행

👉 사용되는 원자재 문제 : 기존 자재와 비교하여 자재교체 / 기술,연구팀 문의 자재변경 검토요청

👉 치공구 편차로 인한 문제 : 치공구 설계치 확인 / 필요시 재가공

 

 ✔️ 외부환경 및 Utility 에 따른 문제

설비 운영에 필요한 유틸리티가 원활한 공급이 되지 않음으로 인한 비가동 발생

 

👉 전력문제 : 정전시 즉각 품질에 문제가 될 여지가 있는 설비위주로 UPS 설치

: 정전 발생시 대응 메뉴얼 구축 (비상사태 대응 시나리오 운영필요)

 

👉 단수문제 : 외부요인 or 내부요인등으로 단수발생 

사전에 예정된 외부요인일 경우 내부 생산계획과 검토하여 일정조율

일정조율이 어려울경우, 단수대비 생산계획 사전에 조정

갑작스런 단수의 경우, 사내 물탱크 긴급대응 (최소 지급필요한 항목에 한하여 진행)

 내부 폐수처리 한계로 인하여 단수진행 : 폐수처리 용량과 연관된 생산계획 Balance유지

 

👉 공압(Air) 문제 : 공압 모니터링 및 관련 유틸리티 유지보수 

 

👉 외부 환경 문제 : 먼지, 습도, 온도의 변화로 인한 설비 이상작동

 설비내 먼지 및 이물질 발생억제를 위한 주기적 청소 (3정5S 유지)

 온도/습도 모니터링 일상점검 진행

 

🎯 마무리하며...

생산계획이 미달성되는 원인 중 설비 문제로 인한 영향이 있다면 각 원인별로 원인을 분석하고 대응책을 마련해야 합니다. 단발성 대응책이 아닌 주요 원인을 분석하여 재발방지 목적이 가장 중요하다고 볼수있습니다.

 

✔️ 설비 예방보전 ( Preventive Maintenance ) 활동의 강화 

잘쓰던 설비도 안쓰고 방치하면 고장나는것이 설비 입니다. 작업전 / 작업중 / 작업종료후 항시 확인을 해야하며, 어떤 부분에서 고장이 나는지 주요 요인에 대한 분석을 하여 정해진 시기마다 점검을 통한 사전 고장예방 활동이 생산성에 직결되는 필수 과제입니다. 업무분장을 통한 일상점검이 실제적으로 유지될수있도록 관리가 필요합니다.

 

✔️  고장발생시 즉각 조치가능한 System의 구축

현장에서 설비고장이 발생시 생산을 하는 작업자가 즉각 대응하기에는 어려운 부분들이 많습니다. 물론 근속기간이 오래된 숙련된 작업자의 경우 일정수준의 조치는 가능하나, 설비 가동원리 메카니즘등에 대한 이해가 없이 수리하기는 어려운 부분이 있기에 즉각 조치가 가능한 전문인력 / 대응팀을 운영하는것이 좋습니다.

설비수리시 교체가 필요한 부품이나 장비가 필요한 부분이 있을수도 있기에 해당설비를 제작한 업체나 아니면 수리가 가능한 업체를 사전에 섭외를 하여 즉각 대응할수있는 연락체계 구축은 생산현장 운영의 필수사항입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Material, Method 측면에서 목표대비 실적 미달성원인 분석을 해보겠습니다.

 

👉 도움이 되셨다면 ‘공유’와 ‘댓글’ 부탁드립니다! 😊

👉 해당건 관련 문의사항이나 궁금한점 있으시면 댓글 부탁드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