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관리가 하는일

생산관리 주요업무 (1-1. 생산계획의 수립 (수요예측단계))

화랑아붕 2025. 2. 27. 10:02

생산 현장에서 효율적인 생산계획 수립은 업무 성공의 핵심입니다. 잘못된 계획은 생산 차질과 비용 증가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생산계획 수립의 모든 과정을 단계별로 정리했습니다.

생산계획 수립은 생산관리의 가장 중요한 업무니까 끝까지 읽어보세요! 😉

🏗️ 생산계획 수립이란?

생산계획 수립은 시장 수요에 맞춰 제품을 적시에 적량 생산하기 위한 전략입니다.

올바른 계획은 생산 차질을 방지하고 원자재 비용, 인력 낭비를 최소화합니다.

반대로 잘못된 계획은 과잉재고를 유발하고, 필요시 납기를 못맞추어 고객사와의 신뢰를 떨어뜨리고 불필요한 비용지출 (인원/자재), 시간낭비에 따른 기회비용의 상실등 많은 결과를 초래합니다.

 

기본적으로 생산계획 수립은 아래의 절차에 의해 진행이 됩니다.

 

① 수요예측단계 -> ② 월생산계획 수립단계 -> ③ 일생산계획 수립단계 (or 주간생산계획)

 

일반적으로 생산계획수립시 월생산계획 (Rough하게) 일생산계획 (Detail하게) 진행을 하지만

아래의 경우에 따라 생산계획 수립시점의 차이가 있을수가 있습니다.

 

🔑 생산방식의 차이 : 다품종소량생산 or 소품종대량생산, Cell방식 or 컨베이어방식

→ 소품종 대량생산(컨베이어)의 경우, 월 생산계획 단계부터 Detail 하게 진행필요

 

각 단계중, 우선 수요예측단계부터 알아보겠습니다.

 

🔍 1. 수요 예측 단계

수요 예측은 생산계획의 출발점입니다.

잘못된 수요 예측은 과잉 생산이나 생산 부족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신중히 진행해야 합니다.

 

 수요 예측 시 확인사항:

  • 📦 고객사 ForeCast 분석: 각 제품별 예상 수요 확인 (일반적으로 영업부에서 작성 및 공유)
  •  → CHECK : 신규모델추가여부, 수량 급증/급감모델 원인파악, 지속출고모델 수량유지여부
  • 🆕 신규 모델 추가 여부: 신규 모델 추가시 관련 제반사항 확인필요
  • 📈 급증/급감 모델 분석: 수량 급증/급감 모델 관련 제반사항 확인필요

✅ 신규모델 추가 / 수량 급증시 CHECK Point

  • 📦 금형관련 사항 확인(필요시): 신규모델 관련 금형보유여부, 금형진행시 납기대응가능여부
  •  → 수량급증모델 관련 : 현재보유 금형으로 CAPA 대응가능여부, 증작필요여부, 보유금형수명
  • 🆕 보유자재의 충분여부: 현재 보유자재가 충분여부, 부족시 발주후 L/T감안 대응여부
  • 📈 CAPA 관련 사항 확인: 설비, 인원 CAPA가 가능한지 확인
  •  → 현보유 설비, 인원 CAPA로 대응가능한지 여부, 부족할것으로 예상될경우 대응방안 

✅ 수량 급감시 CHECK Point

  • 📦 보유재고 수준의 확인: 현재 보유재고의 악성재고화 가능여부 확인
  •  → 고객사 EOL(End of Line) 예상에 따른 수량감소 : EOL전 소진가능여부 확인 (영업부 문의)
  •  → 보유재고 다른 고객사 판매 가능여부 확인
  •  → 보유재공 다른 모델로 변경하여 생산가능 여부확인

 

생산계획 수립전 ForeCast기반으로 상기내용들에 대하여 1차 분석을 진행해야 하며 추가적인 세부적인 내용은 2차 생산계획 수립시 자세히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 질문 및 문의사항은 언제든지 댓글을 주시면 알려드릴게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