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관리가 하는일

생산관리 주요업무 (1-3. 생산계획의 수립 (日생산계획수립))

화랑아붕 2025. 3. 6. 16:07

🔍 3. 일일 생산계획 수립단계

일일 생산계획 수립은 월 생산계획과 달리 정밀하게(Tight하게)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출고계획 (납기일정) 및 공정별 재공을 고려하여 투입 및 진행 우선순위 선정해야합니다.

 

월생산계획 : ForeCast / 재공재고감안하여 확보해야할 수량결정이 목적

일생산계획 : 납기일자를 감안하여 공정별 우선순위를 지정하는것이 목적

 

즉, 일일 생산계획은 월계획을 기반으로 일별 생산 우선순위를 정리하는 과정으로 볼수있습니다. 

 

 

 

일생산계획 수립전 Check Point

현장에서 매일 문제없이 진행이 되면 더할것없이 좋겠지만, 실제로는 많은 변수들이 발생합니다.

인원문제, 설비문제, 자재문제, 품질문제등 해당 변수들을 감안하여 일일생산계획 수립전에는 하기 항목들을 반드시 사전에 점검을 시행하여 생산계획수립시 반영할수있도록 해야합니다.

 

1️⃣ 인원(Man) 근태이슈 Check

: 일별로 각 공정별 인원들의 근태 Check 필수 (일반적으로 출근시 최우선확인)

 설비가 있어도, 설비가동할 인원이 없으면 설비는 무용지물

 

📌 인원 근태관련 발생되는 이슈들

- 미출근 (사전연락없이 출근하지 않는경우)

- 개인사정에 따른 휴가/연차/병가 (사전에 검토받은 연차 or 당일날 갑작스런 휴가요청)

- 지각, 조퇴

- 공가 (경조사 or 훈련등)

- 퇴사 (당일날 퇴사통보 or 연락두절후 퇴사통보)

 

1. 인원공석 확인 2. 해당인원 담당 생산계획 확인 → 3. 납기일정 차질여부 검토

 

상기 Flow로 빠르게 검토를 시행하여 납기일정에 문제될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아래와 같이 시행

① 일일 생산계획변경하여 대체인원의 투입 or ② 영업부와 협의하여 출고일정의 조율

 

 출고일정의 조율은 최후의 방법

조율하는 상황까지 가지 않도록 긴급납기는 대응할수있는 안전재고 유지 필수

 

인원이슈 발생시 대체인원을 즉각 투입하기 위하여 실제 많은 고객사들에서 Audit 진행시

대체인원 운영 / 숙련자 평가 / 다기능공 (Muty Player) 육성을 강조

 

 

2️⃣ 설비(Machine) 관련 이슈 Check

: 설비의 일상점검은 매일 시행해야 함 (작업전 / 작업중 / 작업종료후)

일생산계획 수립전 공정별 설비관련 특이사항 유무 Check 필수

 

설비관련 이슈 Check과정에서도 동일한 Flow로 업무를 진행

1. 설비이슈 확인  2. 해당설비 생산계획 확인 → 3. 납기일정 차질여부 검토

상기 Flow로 빠르게 검토를 시행하여 납기일정에 문제될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 예비/대체 설비로 전환후 작업

- 내부수리 or 업체방문 수리

- 수작업 전환

- 외주가공진행

 

상기 항목들중 가장 빠르고 현실적인 방안을 모색하여 대응하며,

모든 경우의 수가 안될경우 영업부와 협의하여 출고일정의 조율을 진행

 

📌 설비이슈 발생시 대응을 위한 사전준비 Point

1. 예비설비의 운영 (특히 단일설비 고장시 이후 공정 Line Stop 진행됨)

회사내 여력(비용, 공간등)을 감안 운영

2. 설비수리 대응인원의 육성

 현장근무하는 인원들중 설비이슈 발생시 즉각 대응할수있는 전문인력 사전에 육성

3. 설비수리 대응업체의 사전확보

내부인원으로 대응이 어려울경우, 즉각 대응할수있는 대응업체의 발굴 및 사전에 확보

4. 수작업 진행관련 치공구 사전검토

수작업이 가능한 작업의 경우, 치공구 사전준비하여 비상시 활용

5. 외주 가공업체 사전검토

내부에서 작업상 문제가 발생될 경우대비 해당작업이 가능한 외주업체 사전발굴

 

✔️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설비일상점검" 을 통하여 고장을 사전에 예방

 

 

3️⃣ 자재(Material) 관련 이슈 Check

: 자재부족은 생산계획 차질의 주요원인중 하나.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일일생산계획은 최소 전날 오후까지는 수립하는것을 원칙으로 함

 

예시) 3/5일 PM 14:00까지 3/6 생산계획을 수립후 공유

다음날 생산계획을 확인하여 사전에 자재점검을 시행

 점검결과를 사전에 공유하여, 자재가 부족할경우 생산계획을 변경검토

 

📌 당일날 자재이슈가 발생하는 경우

- 입고예정인 자재가 일정상 문제가 생기는 경우

- 입고된 자재가 수입검사(IQC)에서 NG판정을 받는 경우

- 수불부상 재고가 있는것으로 확인된 자재가 실물이 없는 경우

- 전날 불량이 발생하여 예상보다 자재를 더많이 사용한 경우

 

자재의 경우는 부족수량 발생시 즉각 대응이 매우 어려우며 고객사 승인원상 기재된 자재를 임의로 바꿀수가 없기때문에 자재관리는 생산진행에 차질이 없도록 철저하게 관리해야함

 

✔️ 자재관리의 중요한 포인트는 "안전재고"  유지를 통하여 Shortage 사전예방

 

 

 

 일생산계획 수립절차

- 인원 / 설비 / 자재 관련사항을 사전에 체크하고 나면 공정별로 일일 생산계획을 수립진행

- 월생산계획 수립절차와 마찬가지로 실제 CAPA대비 높지 않도록 설정

 

- 목표설정 예시 : 하기 테이블 참고

 

발주현황 기준으로 확인시,

A모델 : 현재 보유재고로 3/7 발주분까지 대응가능,  3/10발주분 부족예상 (-5,000EA)

B모델 : 현재 보유재고로 3/12 발주분까지 대응가능 (문제없음)

C모델 : 현재 보유재고로 3/10 발주분까지 대응가능,  3/11발주분 부족예상 (-2,000EA)

 

현재상황으로 검토시, 생산우선순위 결정 (납기일정, 부족수량기준)

1순위 : A모델 (주말제외 2일 남음 / 부족수량 5,000EA)

2순위 : C모델 (주말제외 3일 남음 / 부족수량 2,000EA)

3순위 : B모델 (부족수량 없음)

 

 

상기 우선순위 기준으로 일일 생산계획을 수립한 결과

(단, 공정 L/T  1일, 해당공정 일일 CAPA 3,000EA 가정하에 작성)

 

A모델은 3/7까지 부족수량 5,000EA 생산, C모델은 3/10까지 부족수량 2,000EA 생산

현재 발주수량 기준으로 부족한 수량을 일별 계획수립

 

 

📌 일일 생산계획 수립시 추가 검토사항

 

1. 일일 생산계획 수립이후 부족수량이 없을경우 나머지 날짜의 생산계획 수립방법

- 상기와 같이 일일계획 수립시 생산가동일 (3/6~7) , 3/10(일부가동), 3/11~(계획없음)

현시점에서 부족수량은 없지만 이후 예상발주분을 대응하기 위한 계획수립 필요

(단, Order Base 생산방식의 회사는 적용되지 않음)

 

상기와 같이 이미 사전에 설정한 월생산계획을 참고하여 일일 생산계획 수립필요

월 생산계획을 참고시 A모델의 경우, 보유재고(5,000EA) 대비 생산계획 (50,000 EA)로 보유재고가 매우부족한 상황

 

일일 CAPA 3,000EA 기준으로 나머지 일자 생산계획 수립진행 결과

 

월 생산계획수량이 많은 모델 = 출고수량이 많은 모델

 사전에 미리 재고(생산완료)를 확보하여 납기이슈를 사전에 예방

 

 

 2. 공정별 Conversion (기종 Change) 최소화 감안 일일 생산계획 수립방법

- 상기와 같이 일일 생산계획 수립시, 실제로 현장에서 작업진행하는 Flow로 예측을 해보면

3/6 : A모델 3,000EA 생산

3/7 : A모델 2,000EA 생산이후 B모델로 Change 이후 1,000EA 생산

3/10 : B모델 1,000EA 생산이후 A모델로 Change 이후 2,000EA 생산

 3일간 총 2회에 걸친 기종 Change발생 (기종 Change는 금형변경 or 치공구 변경등 Loss시간 발생)

결과적으로 생산효율성의 저하발생

 

다시 기존 발주현황을 재검토 해보면

A모델은 부족수량을 3/7까지 생산해야하며, C모델은 부족수량을 3/10까지 완료하면 되는일정

 

 

상기와 같이 일일 계획의 변경진행시

3/7까지 A모델 생산하여 납기대응, 3/10 B모델 생산하여 납기대응 → 납기문제없음

3/10 하루만 기종 Change 진행하여 기존대비 효율성 상승

 

🎯 마무리하며...

일일 생산계획은 무엇보다도 납기일정을 최우선으로 하는 하나의 테트리스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일자별로 발생되는 설비, 인원등의 변수를 사전에 고려하여 철저한 계획수립이 중요합니다.

 

📌 효율적인 생산계획이 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첫걸음!
✔️ 생산계획을 미리 세우고, 변수에 대비하는 전략을 마련하세요!

 

👉 도움이 되셨다면 ‘공유’와 ‘댓글’ 부탁드립니다! 😊

👉 해당건 관련 문의사항이나 궁금한점 있으시면 댓글 부탁드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