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관리 6

생산성 향상의 첫걸음, 설비관리지표 OEE(설비종합효율) 1/2

블로그 유입키워드를 꾸준하게 검토하는 편인데 은근히 OEE관련된 내용으로 유입되시는분들이 많네요.생산관리의 주요업무에 대해서는 기존에 포스팅 했던것처럼 현실성있고 정확한 생산계획의 작성이고 기본적인 생산관리 Flow가 운영이 되게 되면 4M관점에서 지표관리를 통한 모니터링 관리를 진행해야 합니다.'현재 하고 있는것이 잘하고 있는것인지 ? 문제는 없는건지?''추가로 개선을 해야하는 부분이 어떤것인지?' 관리해야하는 수많은 항목들이 있지만 이번 포스팅에서는 설비관련 대표적인 지표인 (OEE/설비종합효율)에 대하여 간략하게 진행해보고 구체적으로 계산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다음 포스팅에서 Detail하게 진행하겠습니다. 해당지표관리에 대해서는 수많은 생산관리 현직자 분들께서 Detail하게 관리하시는 분들이 많지..

"재고·재공·수주"를 한눈에! 실무에 딱 맞는 생산일지 작성법 (2/5)

지난 포스팅에 이어서 생산일지 작성법 2번째 포스팅을 진행하겠습니다.생산일지를 작성하기 위하여 필요로 하는 자료 ("고객사별 발주현황" , "공정별 생산실적" , "제품창고 입출고 수불부" ) 준비가 되면 생산일지 작성이 가능합니다. 회사마다 필요로 하는 정보와 구성이 다르기에 기본적인 생산일지 구성에 대하여 확인후 필요시에는 각 회사실정에 맞도록 수정을 해야합니다.회사에서 생산일지를 운영하고 있다고 하면 필요하신 부분을 벤치마킹하시면되고, 만약 운영하고 있지 않도록 하면 참고하시어 신규로 운영하셔도 좋습니다. 생산일지내 납기와 생산정보가 취합되어 운영이 된다고하면 해당자료는 훗날 MES System 도입기반자료로도 활용이 가능하니 참고해주세요. 🎯 생산일지의 기본구성 - 공정별 생산실적현황 : LOT..

생산관리 주요업무 (1-3. 생산계획의 수립 (日생산계획수립))

🔍 3. 일일 생산계획 수립단계 일일 생산계획 수립은 월 생산계획과 달리 정밀하게(Tight하게)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출고계획 (납기일정) 및 공정별 재공을 고려하여 투입 및 진행 우선순위 선정해야합니다. 월생산계획 : ForeCast / 재공재고감안하여 확보해야할 수량결정이 목적일생산계획 : 납기일자를 감안하여 공정별 우선순위를 지정하는것이 목적 즉, 일일 생산계획은 월계획을 기반으로 일별 생산 우선순위를 정리하는 과정으로 볼수있습니다.    ✅ 일생산계획 수립전 Check Point현장에서 매일 문제없이 진행이 되면 더할것없이 좋겠지만, 실제로는 많은 변수들이 발생합니다.인원문제, 설비문제, 자재문제, 품질문제등 해당 변수들을 감안하여 일일생산계획 수립전에는 하기 항목들을 반드시 사전에..

생산관리 주요업무 (1-2. 생산계획의 수립 (月생산계획수립))

월 생산계획은 효율적인 생산 운영과 원활한 납기 준수를 위해 필수적인 과정입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월 생산계획 수립 절차 및 핵심 포인트를 명확하게 정리했습니다. 실무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했으니 끝까지 확인하세요! 🚀 🔍 2. 월간 생산계획 수립 단계월 생산계획 수립시에는 아래내용들을 반드시 감안하여 진행을 해야합니다. ✔ 일 생산계획보다 Rough하게 설정하여 유연성확보 (다품종 소량생산 / Order Base생산이 아닌경우)✔ Order Base 생산 방식의 경우 월 생산계획부터 Detail하게 설정 필요✔ 생산 목표와 실제 가용 자원(CAPA)의 균형을 고려해야 함  ✅ 월 생산계획 수립시 필요자료: 1️⃣ 고객사 ForeCast 데이터 분석자료📌 ForeCast는 100% 정확하지..

생산관리 주요업무 (1-1. 생산계획의 수립 (수요예측단계))

생산 현장에서 효율적인 생산계획 수립은 업무 성공의 핵심입니다. 잘못된 계획은 생산 차질과 비용 증가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생산계획 수립의 모든 과정을 단계별로 정리했습니다. 생산계획 수립은 생산관리의 가장 중요한 업무니까 끝까지 읽어보세요! 😉🏗️ 생산계획 수립이란?생산계획 수립은 시장 수요에 맞춰 제품을 적시에 적량 생산하기 위한 전략입니다. 올바른 계획은 생산 차질을 방지하고 원자재 비용, 인력 낭비를 최소화합니다.반대로 잘못된 계획은 과잉재고를 유발하고, 필요시 납기를 못맞추어 고객사와의 신뢰를 떨어뜨리고 불필요한 비용지출 (인원/자재), 시간낭비에 따른 기회비용의 상실등 많은 결과를 초래합니다. 기본적으로 생산계획 수립은 아래의 절차에 의해 진행이 됩니다. ① 수요예측단계..

생산 및 제조용어 완벽 정리 1차 (초보자도 쉽게 이해하는 가이드)

생산 현장과 제조업에서 자주 사용하는 용어들을 이해하는 것은 업무 효율을 높이고 커뮤니케이션 오류를 줄이는 데 필수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많이 사용되는 생산 및 제조 용어 24가지를 정리했습니다. 각 용어의 뜻을 알고 업무에 임하시면 업무적응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것입니다. 😉 🚀 1. L/T (Lead Time)뜻: 주문에서 제품 납품까지 걸리는 총 시간입니다.중요성: Lead Time을 줄이면 고객 만족도가 상승하고 재고 비용이 절감됩니다.⏱️ 2. C/T (Cycle Time)뜻: 제품 하나를 생산하는 데 걸리는 시간입니다.중요성: Cycle Time 단축은 생산성 향상으로 이어집니다.⏲️ 3. T/T (Takt Time)뜻: 고객 요구에 맞춰 제품을 생산해야 하는 속도입니다.계산법: 가용작..

제조업 용어 2025.0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