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생산계획의 배포
수립된 생산계획을 관련 부서에 적시에 공유되지 않으면, 납기 대응에 문제가 발생할수있습니다.
제조업체의 생산계획은 단순 제조부만 확인해야할 사항이 아니며 유관부서에도 반드시 필요합니다.
→ 원활한 생산일정 진행을 위한 각 유관부서의 필요한 업무가 사전에 준비필요
또한, 생산계획의 적시에 정확한 배포는 전체 공급망 최적화와도 직결됩니다.
계획이 원활하게 전달되지 않으면 자재조달, 품질검사, 물류, 납품등 모든 프로세스에 영향을 미쳐 생산성과 신뢰도 저하로 이어일수 있습니다.
생산계획에 연관이 되는 각 부서별로 배포해야 하는 이유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품질부서 (IQC, IPQC, OQC)
품질부서는 생산계획을 참고하여 검사인원 및 검사장비의 운영계획을 수립해야합니다.
품질부서의 각 파트별로 생산계획과 연동되는 부분을 확인하여 적시에 공유되어야 합니다.
1️⃣ IQC (Incoming Quality Control)
: 입고된 자재의 품질 검사를 수행하며, 이 과정이 완료되지 않을시 자재 사용불가
생산현장에 투입될 자재가 입고되었음에도 검사완료가 되지 않아 사용하지 못하면 생산계획 진행에 차질이 발생
→ 자재 Shortage로 인한 생산계획 차질발생
2️⃣ IPQC (In-Process Quality Control)
: 공정검사가 완료되지 않으면 재공이 이후 공정으로 적시에 인계되지 않음
공정별로 검사계획을 수립해야 하기에 사전에 생산계획 공유필수
→ 공정별로 재공인계가 되지 않음으로 인한 LOB(Line of Balancing) 문제발생
3️⃣ OQC (Outgoing Quality Control, 출하검사)
생산완료된 완제품에 대하여 출하전 최종검사가 완료되지 않으면 출고불가
→ 정해진 물류시간에 출고되지 않음으로 인한 납기문제 발생
✔ 품질부서 생산계획 공유가 필요한 이유:
- 출하검사 지연으로 인한 납기 지연 방지
- 공정검사의 원활한 진행으로 인한 LOB문제 사전예방
- 수입검사의 원활한 진행으로 인한 자재 Shortage 방지
- 생산일정에 따른 검사인원 및 검사장비 운영계획 수립
✅ 물류부서 (물류/영업)
물류부서는 생산계획을 참고하여 납기관련 계획을 수립해야 합니다.
완제품의 출고관련 문제가 생길시 고객사의 신뢰저하 및 페널티가 발생될수있습니다.
납기최우선의 생산계획 및 적시에 물류부서에 공유되어 납기문제를 사전예방해야 합니다.
→ 물류계획을 물류부서 or 영업에서 수립할수도 있고, 생산관리에서 할수도 있음 (회사마다 상이함)
1️⃣ 국내물류 운송계획
: 국내 고객사들로 출고되는 완제품의 경우 다양한 경로로 출고가능
각 제품별 물량, 특성, 고객사와의 요구사항, 배송거리등에 따라 효율적으로 대응필요
📌택배출고 : 소량출고 / 소규모 고객사
📌화물운송 : 대량출고 / 대규모 고객사 (화물회사 스케쥴 조율필요)
📌퀵서비스 : 소규모물량 지급으로 대응 필요시
📌자체배송 : 고객사와 직접 소통하여 유연한 납품 필요시 (배송인원 차량 유지비용 발생)
2️⃣ 해외물류 운송계획
: 해외고객사별 단가체결하는 과정에서 물류조건을 결정 (CIF / FOB)
각 고객사별 체결된 물류조건에 따라 대응필요
📌VSL(Vessel) 선박운송 : 저렴한 비용 대비 긴 L/T( 운송시간이 김, 2~5주)
: 팔레트/컨테이너 단위, 출고시 FCL/LCL 상황에 맞춰 결정필요
📌AIR 항공운송 : 빠른 운송시간 대비 비싼 비용
📌국제특송 : DHL, FedEx, UPS등
해외출고의 경우, 사전에 미리 부킹을 해두고 Invoice 및 Packing List작성이 필요
날씨에 따라 일정이 Delay되거나 취소되기도함
고객사와 협의하여 최적의 방법으로 선택하는것이 중요
✅ 관리(인사, 보전등) 관련부서
사내 유틸리티(수도,전기,가스등) 관리부서는 항시 생산계획을 참고하여 업무진행이 필요합니다.
사내적인 문제가 아니라 사외적인 문제 (단수/정전등) 의 외부상황은 생산일정에 영향을 줄수있기 때문에 비상사태 관련 사전에 미리 대비해야만 합니다.
사내적으로도 장비교체, 수리등으로 인한 단수, 정전등이 예상될 경우, 항상 생산계획을 참고하여 공사일정을 조정하거나 생산에 차질이 없는 일정안에서 진행해야합니다.
사내에 구내식당을 운영할 경우, 인사나 총무팀에서 생산계획에 맞춰 식수인원을 파악하여 식수인원에 맞춰서 식사를 준비하게 됩니다. 식자재 구매의 경우 전날 진행되는 경우가 많기에 수립된 생산계획을 사전에 공유하여 식수인원에 맞춘 식당운영이 될수있도록 해야 합니다.
✅ R&D 연구개발 부서
사내에 시양산, 신제품개발, Sample생산등을 목적으로 하는 Pilot Line이 있으면 큰문제는 없겠지만, 따로 Pilot Line이 없으며 샘플개발진행을 양산라인으로 운영을 해야할경우, 생산계획에 의거하여 진행해야 합니다.
회사마다 진행절차는 다르지만 "양산설비운영의뢰서" 같은 양식을 통하여 샘플생산을 직접 의뢰하거나 아니면 제조생산이 비가동 되는 시간에 직접 진행할수도 있습니다.
🎯 마무리하며...
생산계획의 수립이 끝이 아니라 수립된 계획을 적시에 필요한 부서에 공유하여 사내 유관부서 유관담당자들로 하여금 유기적으로 업무가 진행될수있도록 해야 합니다.
확장되어 보면 생산관리의 효율적 운영은 비단 제조부서 하나로 그치는것이 아닌 전사적인 부분에 있어서 영향을 미치는 일기에 생산계획의 중요성은 여러번에 걸쳐서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 생산계획의 공유는 필요한 시간에 필요한 사람들에게 공유하는것이 매우중요!
👉 도움이 되셨다면 ‘공유’와 ‘댓글’ 부탁드립니다! 😊
👉 해당건 관련 문의사항이나 궁금한점 있으시면 댓글 부탁드려요 😊
'생산관리가 하는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산관리 주요업무 (3-2. 생산계획 실행및 관리(Machine측면)) (1) | 2025.03.12 |
---|---|
생산관리 주요업무 (3-1. 생산계획 실행 및 관리(MAN측면)) (0) | 2025.03.11 |
생산관리 주요업무 (1-3. 생산계획의 수립 (日생산계획수립)) (0) | 2025.03.06 |
생산관리 주요업무 (1-2. 생산계획의 수립 (月생산계획수립)) (0) | 2025.03.04 |
생산관리 주요업무 (1-1. 생산계획의 수립 (수요예측단계)) (0) | 2025.02.27 |